|
59
[국제학술회의] 변화하는 동아시아의 공간과 주체: 냉전 서발턴 폭력
최고관리자 | 04-09 | 조회: 42
2025년 2월 10일 변화하는 동아시아의 공간과 주체: 냉전 서발턴 폭력을 주제로대만 국립 중산대학교에서 동서대학 중국연구센터, 한국외대 일본연구센터, 대만 중산대학 중국·아태연구소와 국제학술대회를 공동으로 진행했습니다.
|
|
58
[국제학술회의] '협상된 질서'의 휴머니즘
최고관리자 | 04-09 | 조회: 40
2024년 11월 23일 '협상된 질서'의 휴머니즘을 주제로 성균관대학교에서 수선사학회와 공동으로 추계학술대회를 진행했습니다.
|
|
57
[북토크] 납북귀환어부가 겪은 폭력과 그 후
최고관리자 | 04-09 | 조회: 39
2024년 7월 22일 납북귀환어부가 겪은 폭력과 그 후-어부는 죄가 없다를 주제로한림대학교에서 강원민주재단, 한림대학교 도헌학술원 아시아문화연구소와 북토크를 진행했습니다.
|
|
56
[포럼] 글로벌 인문사회 융합과 메가프로젝트
최고관리자 | 04-09 | 조회: 38
2024년 7월 4일 부경대학교에서 개최된 부산 세계인문사회학술대회-글로벌 인문사회 융합과 메가프로젝트포럼을 진행했습니다.
|
|
55
[학술회의] 제도·지식·주체의 전환과 역사학적 해석
최고관리자 | 04-09 | 조회: 38
2024년 6월 22일 제도·지식·주체의 전환과 역사학적 해석을 주제로한성대학교에서 춘계학술대회를 진행했습니다.
|
|
54
[국제학술회의] 동아시아 서벌턴·서벌터니티와 '손상' 인문학
최고관리자 | 04-09 | 조회: 35
2024년 2월 15일 동아시아 서벌턴·서벌터니티와 '손상' 인문학을 주제로 한국외대 일본연구소, 부산 동서대 중국연구센터, 일본 칸세이가쿠인대학 재해부흥연구소와 공동으로국제학술회의를 진행했습니다.
|
|
53
[학술회의] 동아시아 냉전 연구의 현황과 쟁점
최고관리자 | 04-09 | 조회: 36
2023년 12월 5일 동아시아 냉전 연구의 현황과 쟁점을 주제로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광주과학기술원 융합교육 및 융합연구센터,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와공동으로 학술대회를 진행했습니다.
|
|
52
[국제학술회의] 동아시아 ‘손상’의 발견과 냉전 역학
최고관리자 | 04-09 | 조회: 36
2023년 11월 4일 동아시아 '손상'의 대발견과 냉전 역학을 주제로 성균관대학교에서 국제학술대회를 진행했습니다.
|
|
51
[학술대회 및 답사] 냉전의 타자들과 장기 냉전의 지식 관리 구조, 광주 5·18 '폴리티사이드…
최고관리자 | 10-23 | 조회: 1175
2023년 9월 15일~16일에 걸쳐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3차년도 국제학술대회와 답사를 진행하였습니다.15일에 개최된 학술대회(<냉전의 타자들과 장기 냉전의 지식 관리 구조>)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융합교육 및 융합교육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하였습니다. .....
|
|
50
[콜로키움] 제1회 손상인문학 콜로키움
최고관리자 | 02-17 | 조회: 1825
2021.11.30에 성료된 제1차 손상인문학 콜로키움 행사 사진입니다.
|
|
49
[국제학술회의] 식민‧전쟁 책임과 냉전의 지역인식
최고관리자 | 06-07 | 조회: 3637
지난 5월 24일~25일 이틀에 걸쳐, 국제학술회의 <식민‧전쟁 책임과 냉전의 지역인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국제학술회의는 저희 동아시아역사연구소 및 성균관대 사학과 BK21+ 사업단, 수선사학회가 공동 주최하였으며, 일본 히토츠바시대학, 중국 북화대학 .....
|
|
48
[시민강좌] 기호품의 동아시아 네트워크와 문화 접속
최고관리자 | 06-07 | 조회: 3171
지난 4월 5일부터 5월 3일까지 매주 목요일마다, 성북문화원과 동아시아역사연구소가 함께하는 시민강좌 <기호품의 동아시아 네트워크와 문화접속>이 성황리에 진행되었습니다. 조미료, 차, 향신료, 맥주 등 흥미로운 기호품들의 역사적 맥락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
|
|
47
[콜로키움] 그랑제콜과 프랑스 '국가귀족'의 권력재생산
최고관리자 | 06-07 | 조회: 3099
지난 5월 3일 열린 콜로키움에서는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의 윤석준 선생님께서 <그랑제콜과 프랑스 '국가귀족'의 권력재생산>이라는 흥미로운 주제로 발표를 해 주셨습니다.
|
|
46
[성과교류학술회의] 한국사회과학의 독자적 정체성과 동아시아 역사인식
최고관리자 | 06-07 | 조회: 3136
지난 3월 24일에는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와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가 공동 주최한 성과교류 학술회의 <한국사회과학의 독자적 정체성과 동아시아 역사인식>이 열렸습니다.
|
|
45
[콜로키움] 역사적 화해 가능성 모색을 위한 한국학 연구 동향
최고관리자 | 06-07 | 조회: 3139
2017년 6월 2일에는 일본 히토츠바시대학 한국학연구센터에 계시는 이규수 선생님을 모시고 <역사적 화해 가능성 모색을 위한 한국학 연구 동향>에 관한 강연 및 토론이 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