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보기

총게시물 : 11,149건 (9page)
종류 국가 제목 연도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16 12호

목차

경학원잡지서(經學院雜誌序)

경학설 (續)

경학관견 (續)

맹자서론

문묘고사

송강암부학하로암각하승내각수보서(送剛庵副學賀魯庵閣下陞內閣首輔序)

근정운양선생서(謹呈雲養先生書)

무기도설 (1)

경의문답

공문문동답이(孔門問同答異)

사서소주변의(四書小註辨疑) (續)

독서사기 (續)

현관기문 (5)

석전일감음(釋奠日感吟)

봉독경학원잡지(奉讀經學院襍誌)

봉독경학원잡지흥감(奉讀經學院雜誌興感)

봉독경학원잡지흥감(奉讀經學院雜誌興感)

일지대요

강설-박학어문약지이례(博學於文約之以禮)

지방보고

지방보고-일헌지례빈주백배(一獻之禮賓主百拜)

지방보고-도일편(道一編)

지방보고-도학강역(道學講繹)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17 13호

표지 및 목차

명덕설존의(明德說存疑)

경학관견 (續)

모성수계서(慕聖修契序)

존모계서(尊慕契序)

공성유훈강화서(孔聖遺訓講話序)

원교(原敎)

원유(原儒)

무기도설 (2)

사서소주변의(四書小註辨疑) (續)

독서사기 (續)

현관기문 (6)

석전일유감(釋奠日有感)

증독경학원잡지제현(贈讀經學院雜誌諸賢)

정경학원(呈經學院)

알문묘언지(謁文廟言志)

증명명선생(贈冥冥先生)

일지대요

강설-오무지택수지이상(五畝之宅樹之以桑)

강설-인유불위야이후가이유위(人有不爲也而後可以有爲)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17 14호

표지 및 목차

경언

경학관견 (續)

평택문묘중수기

온고이지신가이위사의(溫故而知新可以爲師矣)

무기도설 (3)

용학문대(庸學問對)

조선교육의 방침과 일한병합의 진의

사서소주변의(四書小註辨疑) (續)

종교와 국민

충량국민도

경성문묘중춘석전배관공부(京城文廟仲春釋奠陪觀恭賦)

수이부학행경학강연우 정읍무성서원최고운서원이무성문현가지성현제시사잉차 기운(隨李副學行經學講演于 井邑武城書院崔孤雲書院以武城聞絃歌之聲懸題試士仍次其韻)

우(又)

알태인향교(謁泰仁鄕校)

일지대요

강설-물유본말사유종시지소선후즉근도의(物有本末事有終始知所先後則近道矣)

강설-덕지불수학지불강문의불능도불선불능개시오우야(德之不修學之不講聞義不能徒不善不能改是吾憂也)

법률과 도덕

지방보고

제일변지어로로일변지어도(齊一變至於魯魯一變至於道)

심성구지수불중불원의(心誠求之雖不中不遠矣)

효위백행지원(孝爲百行之源)

역변역야수시변역이종도야(易變易也隨時變易以從道也)

치지재격물(致知在格物)

과능차도의수우필명수유필강(果能此道矣雖愚必明雖柔必强)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17 15호

표지 및 목차

경학관견 (續)

학원

예복도설 (1)

사서소주변의(四書小註辨疑) (續)

시경언변(詩經蔫辨) (1)

경의간대(經義間對)

경의문대(經義問對)

경의문대(經義問對)

경의문대(經義問對)

현관기문 (7)

반수음천가(泮水飮泉歌)

광주향교강제시유감(光州鄕校講製時有感)

일지대요

강설-자왈군자지도사모미능일언소구호자이사부미능야소구호신이사군미능야소 구호제이사형미능야소구호붕우선시지미능야(子曰君子之道四某未能一焉所求乎子以事父未能也所求乎臣以事君未能也所求笑弟以事兄未能也所求乎朋友先施之未能也)

강설-조선공업의 촉진

강설-기소불욕물시어인(己所不欲勿施於人)

강설-금일 조선유교인의 자각처

강설-자막집중집중위근지집중무권유집일야(子莫執中執中爲近之執中無權猶執 一也)

개강주의설

개강사고

강연결사

설유(說諭)

사불가이불홍의임중이도원(士不可以不弘毅任重而道遠)

개강취지설

설유(說諭)

지어도거어덕의어인유어예(志於道據於德依於仁游於藝)

축사

경고영남인사(警告嶺南人士)

상체장강설(常棣章講說)

백록동규(白鹿洞規)

내빈이근중강칠월장요지(來賓李根中講七月章要旨)

유교의 서민적 발전

유림총대축사

지방보고

인필자모이후인모지(人必自侮而後人侮之)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18 16호

표지 및 목차

경학관견 (續)

정선군향교청금록서(旌善郡鄕校靑衿錄序)

양성향교명륜당중수기(陽城鄕校明倫堂重修記)

예복도설 (2)

시경언변(詩經蔫辨) (2)

한창문대 (1)

중용편제장구문대(中庸篇題章句問對) (1)

현관기문 (8)

보령군남포향교중수운(保寧郡藍浦鄕校重修韵)

보령군남포향교중수운(保寧郡藍浦鄕校重修韵)

보령군남포향교중수운(保寧郡藍浦鄕校重修韵)

보령군남포향교중수운(保寧郡藍浦鄕校重修韵)

보령군남포향교중수운(保寧郡藍浦鄕校重修韵)

평양부 문묘참배유감

평양부 문묘참배유감

평양부 문묘참배유감

기궁참배후음(箕宮叅拜後吟)

기궁참배후음(箕宮叅拜後吟)

기자능참배후음(箕子陵叅拜後吟)

기자능참배후음(箕子陵叅拜後吟)

숭인전참배후음(崇仁殿叅拜後吟)

일지대요

강설-문일선언견일선행약결강하(聞一善彦見一善行若決江河)

강설-존기심양기성소이사천야(存其心養其性所以事天也)

지방보고

자왈우이호자용천이호자전생호금지세반고지도여차자재급기신자야(子曰愚而好 自用賤而好自專生乎今之世反古之道如此者烖及其身者也)

신정과 유생의 의무

장학에 취하야

백록동규강연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18 17호

표지 및 목차

경학관견 (續)

사서소주변의(四書小註辨疑) (續)

논어석의(論語釋義) (1)

중용장구문대(中庸章句問對) (2)

제천군향교유림계권서(堤川郡鄕校儒林契券序)

함열향교 중수기

함열향교유림계권서(咸悅鄕校儒林契券序)

정선군향교중수기

삭주군유림식수조합계권서

안동고산서원중흥축사

예복도설 (3)

한창문대 (2)

수오문답

현관기문 (9)

경의문대

경의문대

경의문대

일지대요

강설-군자유대도필충신이득지교태이실지(君子有大道必忠信以得之驕泰以失之)

강설-국민도덕은 하야오

강설-군자무종식지간위인조차필어시전패필어시(君子無終食之幹違仁造次必於是顚沛必於是)

강설-조선기상에 취하야

지방보고

금지낙유고지낙야((今之樂由古之樂也)

인능홍도(人能弘道)

오무지택수지이상(五畝之宅樹之以桑)

생재유대도(生財有大道)

지방강설

무항산이유항심자유사위능(無恒産而有恒心者惟士爲能)

무항산이유항심자유사위능(無恒産而有恒心者惟士爲能)

무항산이유항심자유사위능(無恒産而有恒心者惟士爲能)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18 18호

표지 및 목차

학설 (1)

경학관견 (續)

사서소주변의(四書小註辨疑) (續)

중용장구문대(中庸章句問對) (3)

박천군향교유림계권서(博川郡鄕校儒林契劵序)

무주군향교중수기

서흥군향교중수기

삼수쇄담(三洙瑣談) (1)

현관기문 (10)

상림충청남도장관 반동묘사업전말

일지대요

강설-견의불위무용야(見義不爲無勇也)

강설-내지의 송학

강설-도재이이구제원사재역이구제난(道在邇而求諸遠事在易而求諸難)

고사

지방보고

생재유대도(生財有大道)

생호금지세반고지도재급기신(生乎今之塞反古之道灾及其身)

인개유불인인지심구능충지족이보사해구불충지부족이사부모(人皆有不忍人之心 苟能充之足以保四海苟不充之不足以事父母)

도재이이구제원사재역이구제난(道在邇而求諸遠事在易而求諸難)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18 19호

표지 및 목차

학설 (1)

경학관견 (續)

사서소주변의(四書小註辨疑) (續)

경학원축사

회령군향교모성계서(會寧郡鄕校慕聖契序)

회령군향교모성계서(會寧郡鄕校慕聖契序)

운산군문묘제관안서(雲山郡文廟祭官案序)

안주군향교중수기

삼수쇄담(三洙瑣談) (2)

현관기문 (11)

일지대요

강설-군자소이이어인자이기존심야군자이인존심이례존심(君子所以異於人者以其存心也君子以仁存心李禮存心)

강설-화학과 인생

강설-자로인고지이유과즉희(子路人告之以有過則喜)

강설-효제야자기위인지본여(孝弟也者其爲仁之本歟)

강설-보통교육에 재한 한문과의 임무

강설-맹의자문효(孟懿子問孝)

지방보고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20 20호

표지 및 목차

김제군향교청금계발기통문(金堤郡鄕校靑衿契發起通文)

강학언(講學言)

논어석의(論語釋義) (2)

중용장구문대(中庸章句問對) (4)

용학문대(庸學問對)

구례군문묘중수기

구례군유림회규서

현관기문 (12)

삼수쇄담(三洙瑣談) (3)

홍천군문묘중수비부기모집권유문

홍천군향약계설립권유문

김제군향교청금계발기통문(金堤郡鄕校靑衿契發起通文)

구례군문묘중수연의록소서(求禮郡文廟重修捐義錄小序)

구례문묘수선동지회발기회석상연설

구례군문묘중수낙성식운(求禮郡文廟重修落成式韵)

일지대요

공자탄신급기도의변(孔子誕辰及其道義辨)

지방보고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21 21호

표지 및 목차

논설

노생상담(老生常談)

경학관견 (續)

사서소주변의(四書小註辨疑) (續)

순천군유생존성록서(順天郡儒生尊聖錄序)

정신국전(鄭信國傳)

경의강습소취지문

양정계첩서(養正契帖序)

귀후계첩서(歸厚契帖序)

권학문

향교재산관리규칙-조선총독부령 제91호

향교재산관리규칙시행세칙 (1)-조선총독부충청남도훈령 제14호

장의에 관한 규정 (1)

조선총독부강원도유고 제2호

현관기문 (13)

삼수쇄담(三洙瑣談) (4)

향교재산연혁

견양성문묘전행수고지복생감이유제(見陽城文廟前杏樹枯枝復生感而有題)

사함남강사박기천유랍촉(謝咸南講士朴杞川遺蠟燭)

화정사성화음운(和鄭司成華陰韻)

시월지망여이석정명륜당완월(十月之望與李石庭明倫堂玩月)

일지대요

지방보고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22 22호

표지 및 목차

서(序)

예사(禮辭)

중용설(中庸說) (1)

경학강론

경의문대(經義問對) (1)

인도지남서(人道指南序)

경학원석전참배시고문(經學院釋奠叅拜時告文)

고강사하정여공규형제문(故講士荷亭女公圭亨祭文)

고부제학구암박공제빈제문(故副提學久庵朴公齊斌祭文)

봉간동원제료(奉柬同院諸僚)

장의에 관한 규정 (2)

향교재산관리규칙시행세칙 (2)-조선총독부경상남도훈령 제40호

원천(源泉)

고경학원부제학구암박공만사(故經學院副提學久庵朴公挽詞)

고경학원강사하정여공만사(故經學院講士荷亭女公輓詞)

일지대요

일관지도(一貫之道)

문질빈빈연후군자(文質彬彬然後君子)

자로인고지이유과즉희(子路人告之以有過則喜)

이문회우이우보인(以文會友以友輔仁)

지방보고

상읍례도(相揖禮圖)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22 23호

표지 및 목차

중용설(中庸說) (2)

경의문대(經義問對) (2)

경의문답(經義問答)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사(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辭)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사(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辭)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사(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辭)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사(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辭)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사(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辭)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사(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辭)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사(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辭)

중용연답서(中庸演剳序)

익산군여산문묘중수기

통천군문묘중수기

산청군명륜당중건상량문

동군명륜당중건기

경학원명

제화음정사성문(祭華陰鄭司成文)

경학원규정중 개정건

향교재산관리규칙시행세칙 (3)-조선총독부경기도훈령 제7호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예식급기념사업발기문(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禮式及 紀念事業發起文)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예식전작례순서(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禮式奠爵禮順序)

고문(告文)

삼수쇄담(三洙瑣談) (5)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운(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韻)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운(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韻)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운(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韻)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운(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韻)

공부자기신사십주갑추모운(孔夫子忌辰四十週甲追慕韻)

장단군문묘중수운(長湍郡文廟重修韵)

장단군문묘중수운(長湍郡文廟重修韵)

장단군문묘중수운(長湍郡文廟重修韵)

장단군문묘중수운(長湍郡文廟重修韵)

장단군문묘중수운(長湍郡文廟重修韵)

일지대요

범유혈기자막불존친(凡有血氣者莫不尊親)

사도(師道)

주공공자지도(周公孔子之道)

불출가이성교어국(不出家而成敎於國)

유도(儒道)

지방보고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23 24호

표지 및 목차

논어의의문답(論語疑義問答) (1)

중용설(中庸說) (3)

경의문대(經義問對) (3)

경학원석전참배시고문(經學院釋奠叅拜時告文)

흥양군학중수기

탕도성당참배시고문(湯島聖堂叅拜時告文)

평강군향교중수기

독서사기 (續)

개성군사인신상천행록(開城郡士人申相千行錄)

도권부인문(悼權婦人文)

삼수쇄담(三洙瑣談) (6)

석전에 취하야 (1)

장의에 관한 규정 (3)

향교재산관리규칙시행세칙 (4)-조선총독부충청북도훈령 제19호

지방문묘직원에 관한 부령

탕도성당제전참배지감(湯島聖堂祭典叅拜志感)

탕도성당제전참배지감(湯島聖堂祭典叅拜志感)

탕도성당제전참배지감(湯島聖堂祭典叅拜志感)

탕도성당제전참배지감(湯島聖堂祭典叅拜志感)

탕도성당제전참배지감(湯島聖堂祭典叅拜志感)

아산군신창향교동재중수운(牙山郡新昌鄕校東齋重修韵)

아산군신창향교동재중수운(牙山郡新昌鄕校東齋重修韵)

아산군신창향교동재중수운(牙山郡新昌鄕校東齋重修韵)

아산군신창향교동재중수운(牙山郡新昌鄕校東齋重修韵)

아산군신창향교동재중수운(牙山郡新昌鄕校東齋重修韵)

아산군신창향교동재중수운(牙山郡新昌鄕校東齋重修韵)

아산군신창향교동재중수운(牙山郡新昌鄕校東齋重修韵)

재평산향교영단행(在平山鄕校咏壇杏)

일지대요

지천명설(知天命說)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영과이후진(盈科而後進)

대학지도재명명덕재신민(大學之道在明明德在新民)

설위상서학교이교지개소이명인륜(設爲庠序學校以敎之皆所以明人倫)

유도(儒道)

시대지유교(時代之儒敎)

지방보고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24 25호

표지 및 목차

무형지대론(無形至大論)

중기실이불홀어곡지미자위인생지귀(重其實而不惚於穀之美者爲人生之貴)

논어의의문답(論語疑義問答) (2)

중용설(中庸說) (4)

삼수군향교중수기

탕도시첩서(湯島詩帖序)

고문(告文)

삼수쇄담(三洙瑣談) (7)

석전에 취하야 (2)

장의에 관한 규정 (4)

부천군인천향교중수낙성시운(富川郡仁川鄕敎重修落成詩韵)

부천군인천향교중수낙성시운(富川郡仁川鄕敎重修落成詩韵)

부천군인천향교중수낙성시운(富川郡仁川鄕敎重修落成詩韵)

부천군인천향교중수낙성시운(富川郡仁川鄕敎重修落成詩韵)

부천군인천향교중수낙성시운(富川郡仁川鄕敎重修落成詩韵)

증별심강사선택(贈別沈講士璿澤)

일지대요

욱욱호문재(郁郁乎文哉)

유도(儒道)

유소(儒素)

유가지자위책(儒家之自衛策)

수도지위교(修道之謂敎)

삼강오륜설(三綱吳倫說)

유교자의 변

명륜

사친여사천(事親如事天)

지방보고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잡지 한국 경학원잡지 1925 26호

표지 및 목차

인의와 현대사조 (1)

강릉군향교중수기

봉화군중수학기

사서강해총설(四書講解總說)

욕제기가선수기신론(欲齊其家先修其身論)

삼수쇄담(三洙瑣談) (8)

석전에 취하야 (3)

숭양과공사성성학(崧陽過孔司成聖學)

봉화향당박사(奉和香堂博士)

세만한금사서회(歲晩漢襟社書懷)

동미사서회(同美社書懷)

화정창상이선생(和呈滄上李先生)

강릉문묘중수낙성운(江陵文廟重修落成韵)

강릉문묘중수낙성운(江陵文廟重修落成韵)

강릉문묘중수낙성운(江陵文廟重修落成韵)

강릉문묘중수낙성운(江陵文廟重修落成韵)

강릉문묘중수낙성운(江陵文廟重修落成韵)

출장강릉향교차중수낙성운(出張江陵鄕校次重修落成韻)

출장강릉향교차천운지운(出張江陵鄕校次天雲池韻)

일지대요

유자지지위급의무(儒者之地位及義務)

요순지도효제이기(堯舜之道孝悌而己)

금일오인지급선무(今日吾人之急先務)

군자시중(君子時中)

덕자본야재자말야(德者本也財者末也)

방유도빈차천언치야(邦有道貧且賤焉耻也)

유가사업(儒家事業)

지방보고

경학원잡지편찬에 관한 요항 및 판권지

<< 1 2 3 4 5 6 7 8 9 10 > >>